다니엘서 3장을 구조분석 후 갈등과 화해의 관점으로 재해석 목차 1. 서론 2. 본론 A. 본문의 범위 B. 본문의 구조 1) 다니엘 이야기(단 3:1-30)의 문학적 구조와 내용 ① 단 3장 큰 구조 (1) 첫째 대문단: 느부갓네살 왕이 자신을 높임 (단 3:1-7) (2) 둘째 대문단: 느부갓네살 왕의 명령에 불순종하는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 (단 3:8-18) (3) 셋째 대문단: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 (단 3:19-26) (4) 넷째 대문단: 느부갓네살 왕이 하나님을 높임 (단 3:27-30) ② 단 3장 작은 구조 C. 본문의 의도와 메시지 1) 갈등의 주제로 읽는 다니엘 이야기 (1) 갈등의 원인 ① 교만은 갈등의 씨앗이다. ② 세상의 가치관과 신앙의 가치관을 타..
개혁교의학1 1장 교의학의 명칭 및 개념 [1] 교의학이란 명칭은 비교적 최근에 사용된 이름이다. 다른 신학 과목들과 구분하기 위해 ‘신학’이라는 이 이름은 더 상세하게 규정되어야만 했다. 그것을 위해 ‘교육학적’, ‘체계적’, ‘이론적’, 혹은 ‘실증적’이라는 관형어가 덧붙여졌고, 라인하르트의 『교의신학개요』 이후로는 ‘교리적’이라는 관형어가 덧붙여졌다. [2] ‘교리’(δογμα) 라는 단어는 헬라어 동사 ‘도케인’(δοκειν, ~로 생각되다)에서 나와 확정되고 결정되어서 ‘확고히 서 있는 것’을 지시한다. 성경에서 그 단어는 나라의 명령, 옛 언약의 규정들, 예루살렘 공회의 결정을 언급할 때 쓰여졌다. 첫째로, 그것은 여러 가지 명령들, 결정들, 진리들, 주장들, 생활 규범들로 지칭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