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서 3장을 구조분석 후 갈등과 화해의 관점으로 재해석 목차 1. 서론 2. 본론 A. 본문의 범위 B. 본문의 구조 1) 다니엘 이야기(단 3:1-30)의 문학적 구조와 내용 ① 단 3장 큰 구조 (1) 첫째 대문단: 느부갓네살 왕이 자신을 높임 (단 3:1-7) (2) 둘째 대문단: 느부갓네살 왕의 명령에 불순종하는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 (단 3:8-18) (3) 셋째 대문단: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 (단 3:19-26) (4) 넷째 대문단: 느부갓네살 왕이 하나님을 높임 (단 3:27-30) ② 단 3장 작은 구조 C. 본문의 의도와 메시지 1) 갈등의 주제로 읽는 다니엘 이야기 (1) 갈등의 원인 ① 교만은 갈등의 씨앗이다. ② 세상의 가치관과 신앙의 가치관을 타..
인간론 후크마는 인간은 피조물인 동시에 하나의 인격체, 곧 피조된 인격체라고 말한다. 그는 성경에서도 사람이 피조물됨과 인격체됨을 동시에 가르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피조물됨은 사람은 하나님을 의지할 수밖에 없음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인격체됨은 로봇처럼 수동적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가지고 선택할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p15-16) 구약의 가르침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성경 구절 1) 창세기 1:26-28(성경 본문도 쓸 것) “우리의 형상대로, 우리의 모양을 따라.” “형상”(image)이라고 번역된 히브리어는 첼램(צֶלֶם)이며 “모양”(likeness)이라고 번역된 히브리어는 데무쓰(דְּמוּת)이다. 창세기 1:26에서 “형상”이란 단어와 “모양”이란 단어가 창세기 5:1에는 ..
하나님 형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 Ⅰ. 하나님 형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 성경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고 선언한다. 그러나 교회역사를 보면 하나님의 형상의 내용에 관한 문제는 각 시대마다 다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회사적으로 하나님의 형상은 “합리적 도덕적 성품”, “인간 본성의 탁월성이나 순정성”, “하나님과의 동형성”, “거룩과 의와 지식” 등과 같은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본 장에서는 초대 교부시대, 중세 교회시대, 종교개혁시대, 현대 신학자들의 하나님의 형상 이해로 나누어서 살펴보겠다. 1. 초대 교부시대의 하나님의 형상 이해 초대 교부시대의 하나님의 형상 이해에 있어서 이분법적인 이해를 가졌던 이레니우스의 견해를 설명하고, 이레니우스의 이분법적인 이해를 거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우리를 위한 하나님 1. 캐서린 모리 라쿠나의 「우리를 위한 하나님」 그녀는 “삼위일체 교의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인 삶에 아주 중요한 실천적 교의이다.”라고 주장한다. 그리스도인 삶의 목적은 “성령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의 삶에 참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삼위일체 신학은 “그리스도의 인격과 성령의 활동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자기-계시의 구조 속에서 사랑, 관계, 인격성, 연합의 신비를 탐구하는 가장 탁월한 관계의 신학이다.” 라쿠나는 “어째서 삼위일체 교의가 밀려난 것일까?”라는 물음으로 시작한다. 라쿠나의 연구는 이 문제들에 대한 역사적 분석을 하고, 바르트의 통찰을 실천적 영성으로 확장하는 구성적 제안을 하고 있다. 라쿠나는 바르트를 직접 인용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녀는 라너의 규정을 ..
삼위일체 하나님 -신적 삶 안에 있는 관계성과 시간성- 1. 삼위일체 담론의 과제 입문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을 하나 됨과 분화로, 일치와 다양성으로, 영원성과 시간성으로 생각한다. 삼위일체의 근본 논제는 하나님의 셋 됨에 있는 것이 아니고, 신적 삶을 자기-분화(self-separating)와 재-연합(reuniting), 죽음과 부활로 재정의할 수 있는 역동성에 있다. 1) 삼위일체 담론의 과제 삼위일체 담론의 일반적인 과제는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그리스도교 이해를 탐구하는 것이며, 왜 우리가 ‘하나 안에 셋’(three-in-one)과 ‘셋 안에 하나’(one-in-three)라는 다소 어색한 용어를 사용하는지 그 이유를 살피는 일이다. 이 책에서는 그 역사적 과정을 자세히 다루지 않을 것이다 대신..
개혁교의학1 1장 교의학의 명칭 및 개념 [1] 교의학이란 명칭은 비교적 최근에 사용된 이름이다. 다른 신학 과목들과 구분하기 위해 ‘신학’이라는 이 이름은 더 상세하게 규정되어야만 했다. 그것을 위해 ‘교육학적’, ‘체계적’, ‘이론적’, 혹은 ‘실증적’이라는 관형어가 덧붙여졌고, 라인하르트의 『교의신학개요』 이후로는 ‘교리적’이라는 관형어가 덧붙여졌다. [2] ‘교리’(δογμα) 라는 단어는 헬라어 동사 ‘도케인’(δοκειν, ~로 생각되다)에서 나와 확정되고 결정되어서 ‘확고히 서 있는 것’을 지시한다. 성경에서 그 단어는 나라의 명령, 옛 언약의 규정들, 예루살렘 공회의 결정을 언급할 때 쓰여졌다. 첫째로, 그것은 여러 가지 명령들, 결정들, 진리들, 주장들, 생활 규범들로 지칭될 수 있다. ..
개혁주의 구원론 -안토니 A. 후크마- 제1장 방향설정 개혁주의 구원론의 강조점 1) 누가 죄로부터 구원을 받게 되는가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인은 비록 인간의 결정이 중요한 역할을 함은 분명하나, 인간의 결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이다. 2)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적용되는 구원은 그 뿌리를 하나님의 영원한 계획 속에 두고 있으며 그 계획에 따라 하나님께서는 인간 편의 어떤 공로를 근거로 해서가 아니라, 전적인 그의 미쁘신 뜻대로 그의 백성들에게 영생을 주시고자 그들을 택하신 것이다. 3) 비록 복음의 메시지를 듣는 모든 자들이 그리스도를 영접하며 그의 구원을 받아들이도록 초청되었으며, 더욱이 그를 영접하도록 간곡히 권유되어질지라도, 엄격한 의미에서 하나님의 구속의 은혜는, 그의 택한 백성(그리스도 ..
성령 은사론 -리차드 개핀- -이 책은 신약성경의 성령은사론을 다룬 책인데 시종일관 성경에 의존하여 사색한 책이다. 체험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성경 말씀에 기준하여 성령은사 중에서 특별히 예언과 방언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 책이다. 제 1장 약속과 부탁 성령께서 말씀과 더불어 자유롭게 역사하신다는 것이 필자의 첫 번째 확신이고, 필자의 두 번째 확신은 체험 자체가 기독교 지식과 교리의 원천이 될 수 없다는 점이다. 제 2장 성령선물 ‘성령’이란 단어의 분포도가 신약 후반부에 쏠려 있음을 얼른 볼 수 있다. 약 80퍼센트가 사도행전과 서신서와 계시록에 나오고, 나머지 십여 퍼센트만이 복음서에 나온다. 그러나 ‘성령’이란 단어의 분포도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그것은 신약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중점이 다르다..
성령 싱클레어 퍼거슨 -성령의 인격과 사역에 대한 계시들을 성경신학적으로 그리고 구속사적 방법으로 추적해 가는 것 -성령에 대한 우리의 모든 고찰에서 가장 커다란 바람은 당연히 그분과 긴밀하고도 인격적으로 교통하는 것이요, 그분에 의해서 우리가 성부와 성자를 영화롭게 하며 순종하고 경배하도록 인도를 받게 되는 것 제1장 성령과 그리스도의 몸 바울의 신학 가운데, 그가 유일하게 사용한 다음의 비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즉 교회란 우리가 성령의 사역으로 말미암아 그 안에 들어가게 되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여기서 그리스도의 몸(많은 지체들로 구성되어 있는) 안으로 들어가는 것은 성령 세례로 말미암아 가능케 된다. 곧바로 두 가지 질문이 제기된다. (1) 바울이 교회를 사람들 사이에 놓여 있는 사회적∙문화..
성령론 -헨드리쿠스 벨콥- 3. 성령과 교회 1) 성령, 교회, 개인 칼빈의 견해가 급진적 기독교나 로마 카톨릭의 견해와 같을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로마 카톨릭과 마찬가지로 구원을 위해 교회의 필요성을 강조하지만 복음을 전파하는 사역으로서 성례를 베풀고 성직제도가 있는 기관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 성령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성령의 목표가 개인의 마음 가운데 거하는 것이라는 사실은 강조하지만 교회를 이 역사의 인간적인 생각으로 말미암은 소산일 뿐 아니라 그 역사의 거룩한 기초라고 생각한다. 개혁주의 교회는 카톨릭 교회형의 열매이고 자유교회형의 근원이기 때문에 두 가지 형태 모두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서로 의지한다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거의 없다. 개혁주의 교회..
- Total
- Today
- Yesterday
- 띄운 보리고추장
- 스파게티
- 칭의
- 간장
- 고추장
- 새벽
- 정성
- 요약
- 복음
- 이상균 명인
- 섭리
- 칼 바르트
- 된장
- 사업의 철학
- 책
- 창업
- 교리
- 성경
- 소비
- 계시
- 첫차
- 기름
- 믿음
- 나눔
- 존 칼빈
- 소금
- 전통음식 소그룹 실습교육
- 감사
- 은사
- 전통주 명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